독후감
데이터 문해력2
datarosie
2023. 1. 10. 09:04
반응형
회사에서 스쿼드내 스터디로 진행하고 있는 데이터 문해력 스터디.
6장 발제를 맡았고 앞서 요약을 해 보았다. 발제도 추가.
요약
- 결과와 결론은 다르다.
- 결과 : 계산과 분석을 해서 나온 결과물
- 결론 : 그 결과가 목적에 대해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설명
- 데이터 활용할때는 결론이 결과보다 중요
- 결론이란 결과를 기반으로 도출되는 것이라 본질적으로 같지만, 표현방식이 다르다. 그리고 이 작은 차이가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방식이나 이해도에 큰 영향을 미침.
- 데이터 활용 예시
- 줄글
- 안좋은 사례 : 교외 지역의 평균 집세가 도심 지역의 평균 집세보다 낮다.
- 좋은 사례 : 분명 시세는 교외가 도심보다 싼 편이지만, 선택의 폭을 생각하면 도심 쪽이 압도적으로 넓다고 할 수 있다. 도심에서 좋은 부동산은 찾아낸다면 결과적으로 교외 시세보다 쌀지 모른다. 일단 도심에서 찾아보는 것은 어떤지?
- ⇒ 평균값 대신 시세, 표준편차와 분산을 선택의 폭이라는 표현으로 바꿈.
- 시각화
- 그래프를 보여주는 방식에 의도를 넣어서 보여주기.
- 줄글
- 주의점
- 결론은 “당신은 어떻게 생각해?” 가 아니라 “이 데이터를 통해 알 수 있는게 무엇입니까?” 임.
- 데이터로 설명 불가능한 범위가 있음. 인지편향(선입견)이 들어가서 해석할 수 있음. 데이터에 모든것이 들어있는게 아님.
- 결론이라는 정답은 한가지가 아니다. 스스로 정답을 만들고 이를 논한다.라는 자세를 흔들림 없이 유지하는 것 또한 데이터 문해력의 중요한 요소임.
한줄후기 및 발제
계속 해서 후기와 발제가 쭈욱 이어지는 내용입니다
- 이 책에서 DA 가 꼭 읽어야 하는 챕터 하나만 꼽으라면 이 챕터 일 것. 결과와 결론을 정리해서 공유하는 일이 많은데, 돌이켜보니 어떨때는 결과만 정리하고 어떨때는 결론만 공유했던것 같기도 하다. 실험 분석은 결론으로 풀어서 설명하면 더 쉬울 거라 생각하고 독자(데이터 모른다고 생각하고) 입장에서 쉬운 단어를 쓰려고 하다 보니 너무 결과가 없어지는 것 같기도 하고 그 사이에서 갈팡질팡 했던 기억이 꽤 있다. (결과적으로 결과 조금, 결론 많이 공유했던 것 같음) 그래서.!
- DA 전체 분석 결과 공유 포맷을 만들면 어떨까?
- 다른 스쿼드의 분석 결과를 궁금해 하는지?
- 검색하면 다 찾아 볼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 같다.
- 락인에서 데이터 공유 할때 아쉬운 점이 있었다면?
- (아래에 실제 분석 결과 공유 링크가 있음)
- 가장 잘한 공유와 가장 아쉬운 공유를 뽑아본다면?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