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회사에서 스쿼드내 스터디로 진행하고 있는 데이터 문해력 스터디. 

6장 발제를 맡았고 앞서 요약을 해 보았다. 발제도 추가.

 


요약

  • 결과와 결론은 다르다.
    • 결과 : 계산과 분석을 해서 나온 결과물
    • 결론 : 그 결과가 목적에 대해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설명
    • 데이터 활용할때는 결론이 결과보다 중요
    • 결론이란 결과를 기반으로 도출되는 것이라 본질적으로 같지만, 표현방식이 다르다. 그리고 이 작은 차이가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방식이나 이해도에 큰 영향을 미침.
  • 데이터 활용 예시
    • 줄글
      • 안좋은 사례 : 교외 지역의 평균 집세가 도심 지역의 평균 집세보다 낮다.
      • 좋은 사례 : 분명 시세는 교외가 도심보다 싼 편이지만, 선택의 폭을 생각하면 도심 쪽이 압도적으로 넓다고 할 수 있다. 도심에서 좋은 부동산은 찾아낸다면 결과적으로 교외 시세보다 쌀지 모른다. 일단 도심에서 찾아보는 것은 어떤지?
      • ⇒ 평균값 대신 시세, 표준편차와 분산을 선택의 폭이라는 표현으로 바꿈.
    • 시각화
      • 그래프를 보여주는 방식에 의도를 넣어서 보여주기.
  • 주의점
    • 결론은 “당신은 어떻게 생각해?” 가 아니라 “이 데이터를 통해 알 수 있는게 무엇입니까?” 임.
    • 데이터로 설명 불가능한 범위가 있음. 인지편향(선입견)이 들어가서 해석할 수 있음. 데이터에 모든것이 들어있는게 아님.
    • 결론이라는 정답은 한가지가 아니다. 스스로 정답을 만들고 이를 논한다.라는 자세를 흔들림 없이 유지하는 것 또한 데이터 문해력의 중요한 요소임.

한줄후기 및 발제

계속 해서 후기와 발제가 쭈욱 이어지는 내용입니다

  • 이 책에서 DA 가 꼭 읽어야 하는 챕터 하나만 꼽으라면 이 챕터 일 것. 결과와 결론을 정리해서 공유하는 일이 많은데, 돌이켜보니 어떨때는 결과만 정리하고 어떨때는 결론만 공유했던것 같기도 하다. 실험 분석은 결론으로 풀어서 설명하면 더 쉬울 거라 생각하고 독자(데이터 모른다고 생각하고) 입장에서 쉬운 단어를 쓰려고 하다 보니 너무 결과가 없어지는 것 같기도 하고 그 사이에서 갈팡질팡 했던 기억이 꽤 있다. (결과적으로 결과 조금, 결론 많이 공유했던 것 같음) 그래서.!
  • DA 전체 분석 결과 공유 포맷을 만들면 어떨까?
    • 다른 스쿼드의 분석 결과를 궁금해 하는지?
    • 검색하면 다 찾아 볼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 같다.
  • 락인에서 데이터 공유 할때 아쉬운 점이 있었다면?
    • (아래에 실제 분석 결과 공유 링크가 있음)
    • 가장 잘한 공유와 가장 아쉬운 공유를 뽑아본다면?
반응형

'독후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데이터 문해력  (0) 2022.12.13
[정리] 함께 자라기- 2 # 자라기  (0) 2022.01.24
[정리] 함께 자라기  (0) 2022.01.17
반응형

스쿼드내에서 진행하고 있는 사내스터디.

<데이터 문해력>이라는 책을 읽고 있다.

5장 발제를 맡았고,그에 앞서 요약을 해 보았다.

 


 

요약

  • 데이터를 활용하려면 본질적으로 논리적인 사고가 반드시 기반이 되어야 함.
  • 목적과 문제를 정의할때, 문제만 정의하지 않고 원인과 해결방안이 섞여 있는 경우가 많고, 그것은 스토리 전체에 문제를 일으킨다.
    • 올바른 순서 : 문제 → 원인 → 해결방안
    • 나쁜 순서 : 문제 → 바로 해결방안으로 달려듦.
    • EX. (문제)인구 감소 → (해결방안) 이벤트 투어를 많이 실시 : 데이터가 필요없는 참신한 아이디어에 지나지 않음.
      • 이런 제시를 하는 사람을 방법맨이라고 할 수 있음.
      • 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내용이 정말로 직접적으로 제안 내용과 관계가 있는지 확인해야함
    • 좋은 순서 : 문제 → 원인을 데이터로 파악.
    • 아쉬운 결과가 나오는 것은 데이터 활용이나 분석에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라 적절한 사고 과정을 밟지 않았기 때문.
    • 방법맨이 안 되려면?
      • 체크 포인트
        • 내가 낸 해결방안에 대해
          • 다른게 아니라 왜 그게 필요한지?
          • 그걸로 어떤걸 실현, 해결 가능한지? 효과적인 결과가 나올것이라는 근거는 어디있는지?
        • 에 대한 답이 없거나, 주관적인 답변일 경우 방법맨일 확률이 높음.
  • 왜 방법맨이 되고 마는가?
    • 생각한다
      •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각해낸다
      • 논리적으로 꾸준히 사물이나 현상의 원인을 파악한다.
      • 둘다 생각은 맞지만, 1과 2의 “생각한다”의 차이를 인지하고 논리성을 “생각”하는 것은 중요함.
      • 1보다 2에서 문제 해결에 대한 방안이 더 잘 나옴
  • 방법맨이 되는 것을 피하려면?
    • 내가 지금 ‘생각’하고 있는게 ‘원인’인지 ‘문제’인지 ‘해결방안’인지 파악할 수 있어야함
      • 해결방안에 대해 고민하는 것은 마지막 단계임.
    • 원인에 대해 끈질기게 생각하기
      • 얼마나 왜?를 반복해야하는지? : 최대한 깊이. = 결과적으로 두 지표 사이에 관련성이 있다고 판명될 때 까지.
  • 이런 논리적 사고 흐름이 없다면 지식이나 방법론은 모두 소용없음.
반응형

'독후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데이터 문해력2  (0) 2023.01.10
[정리] 함께 자라기- 2 # 자라기  (0) 2022.01.24
[정리] 함께 자라기  (0) 2022.01.17

+ Recent posts